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초등보건교사 장점 비교 중등 장단점 후기

by 책피운 2024. 7. 10.

초등보건교사의 장점과 중고등 보건교사의 장단점을 말씀드리려고 합니다. 어떤 지역은 랜덤으로 초등/중고등 발령 나는 지역도 있지만, 응시원서 접수할 때 초등/중고등을 선택해야하는 지역도 있습니다. 경기도는 초등/ 중고등을 구분해서 접수해야합니다. 

 

저는 경기도에 응시를 하였는데, 초등과 중등을 선택해야했을 때  여러가지 찾아보았지만 생각보다 정보가 별로 없더라구요. 그래서 예비 보건 선생님들께 도움 드리고자 작성해보려고 합니다. 

 

우선 초등의 장점입니다. 

초등의 장점

 

이른 하교 시간 

첫번째, 이른 하교시간입니다.   저학년은 일찍 하교하고, 나머지 학생들도 수업이 끝나면 한가한 편입니다.

2시 30분이 되면 여유가 생깁니다.

 

돌봄교실과 방과 후 활동이 있지 않느냐 하실 수 있습니다. 

 

저희 학교는 방과 후 활동을 600명이나 할 정도로 학생들이 정규 수업 시간 외에도 학교에 많이 남아있고, 돌봄학생들도 많은 편입니다. 그러나 저희 학교의 경우에는 실제 통계를 봤을 때 2시 반 이후에는 거의 오지 않습니다. 초등은 아주 가볍게 다친것으로도 보건실에 오고 꾀병도 많은데,  아마도 방과 후 활동이 재밌고 집중해서 하느라 보건실에 올 생각이 들지 않는 거겠죠.  그리고 정규수업시간이 끝나면 아무래도 긴장을 좀 놓고 있을 수가 있습니다.  물론 공문 처리 외 다양한 업무로 이시간에도 바쁩니다. 아이들 방문이 붐비지는 않아서 처치 대신 행정업무에 집중할 수 있습니다. 오전에는 처치 위주, 오후에는 행정업무 위주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조퇴 또는 출장에 대한 부담 감소 

 

그리고 정규수업시간이 일찍 끝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조퇴하거나 출장가기에 편합니다.  아무래도 정규 수업시간이 4시 30분인 것과 , 2시 30분인 것은 조퇴 및 출장시 마음의 부담의 크기가 다를 것 같습니다. 정규 수업시간에는 교사의 책임이 있으니까요. 

 

방학

두번째, 방학이 깁니다. 중고등보다는 방학 기간이 깁니다.  비슷하게 방학을 해도 중고등은 훨씬 빨리 개학하기 때문에 

방학이 초등이 더 깁니다. 

 

원활한 학부모 협조 

셋째,  학부모님과 협조가 잘됩니다. 아이가 열 나는 경우에 바로 달려오시는 경우가 많습니다. 

보건 응급처치 특성상, 보수적으로 진행해야하기 떄문에 약간의 가능성만 있어도 병원에 보내는 것이 좋습니다. 이때 학부모님께 연락을 드리는데, 중고등보다는 학부모님이 더 초등 아이들 케어에 신경쓰시기 때문에 협조가 잘 됩니다. 저도 안심이 되구요. 

 

넷째, 담임선생님도 학급에 항상 계시기 때문에 협조가 잘 됩니다. 중고등의 경우에는 담임교사가 학급에 항상 계시는 것이 아니고 학년 교무실에 가계시기 때문에 , 아이들이 다친 상태르 잘 모르고 다른반 수업에 들어간 경우 통화 연결도 어렵습니다. 그렇지만 초등은 담임선생님이 계속 아이들과 함께 있기 때문에 아이들 컨디션도 잘 알고, 연결도 굉장히 용이합니다.  또 초등아이들은 작은 일이 있어도 담임선생님께 말하는 경우가 많은데, 중고등아이들은 상대적으로 자기가 다친 것이나 이런 것들을 담임선생님께 전달하는 빈도가 낮지요. 

 

응급상황의 중증도

다섯번째, 응급상황의 중증도가 낮습니다. 심한 몸싸움을 하거나, 격한 스포츠, 심한 장난을 하는 경우가 중고등보다는 확률상  적기 때문에 심각한 상황이  상대적으로 덜 발생합니다.  이외에도 중고등은 자살, 임신, 성관련 문제들이 초등보다는 더 많이 발생하기 때문에 보건교사의 개입이 많이 필요합니다. 학교 현장에서 이런 문제들은 너무 어렵지요. 

 

 

수업의 원활한 참여

저는 5학년 대상으로 보건수업을 합니다.  참고로, 보통 한개학년 17차시 보건수업을 하는데, 실상 현황을 보면 보건수업이 이뤄지는 형태는 굉장히 다양합니다. 저처럼 5학년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도 있고, 6학년만 대상으로 하는 경우, 전학년 들어가는 경우,, 관리자의 스타일과 그 학교 기존 양식에 따라 많이 좌우됩니다. 개인적인 의견으로는 관리자 스타일도 스타일이지만 그 학교에서 그동안 보건수업을 어떻게 진행해왔냐가 가장 중요한 것 같습니다. 학교 일은 기존에 준해서 하는 것을 좋아하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중고등 선생님의 말씀을 들어보면 수업을 안 하는 경우도 많고, 수업을 들어가더라도 아이들이 입시에 지쳐

보건수업은 쉬는 시간으로 생각한다거나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렇지만 상대적으로 초등 아이들은 보건수업이라도 아주 열심히 듣고 수업 참여도가 좋습니다. 

 

 

하지만 모든 것에는 다 일장일단이 있죠. 

다음에는 초등보건교사의 단점에 대해서 이야기해보도록 하겠습니다.